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들께 재테크 지식을 알기 쉽게 설명드리는 몽순이입니다.지난 시간에는 내 월급은 어떻게 구성이 되어있는지와 4대보험의 개괄적인 내용에 대하여 다뤘습니다. 오늘은 4대보험을 세분하여 그중 첫 번째인 국민연금에 대하여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여러분 뜬금없는 말이지만, 노후대비 하고 있으세요? 염전 소금만큼 짠 월급을 받으며 간간히 버티는데 무슨 노후대비냐고요?초 저금리 시대에 엄청난 물가상승 그리고 살아가면서 학교, 결혼, 육아 등등에 들어갈 비용을 생각하면 노후대비는 지금부터 천천히 시작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그럴 돈 없다구요?
회사를 들어가서 4대 보험을 가입하게되면 국가가 노후대비를 해줍니다. 그것도 강제로요.
.
.
우리의 월급은 여러지급항목의 합으로 이뤄집니다. 그렇다고 그 지급 항목 모두를 합산 한 금액이 다 내 통장으로 들어오는 것은 아닙니다.여기서 4대보험과 세금 등등.. 여러 공제 항목을 공제하고 나머지 금액만이 통장으로 들어와 월급으로 받게 됩니다.공제되는 항목을 살펴보다 보면 국민연금이라는 항목이 보이는데요.바로 국가는 이 국민연금을 통해 강제로 우리의 노후대비를 돕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은 소득활동이 중단되는 우리의 노후 대비를 위한 공적 연금제도입니다. 우리가 직장을 다니면서 국민연금에 가입한 채로 최소 10년 이상의 가입기간을 채운다면 노후에는 다달이 돈을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수령금액 같은 경우 가입기간 중 연금을 받기 전 본인의 평균소득을 계산하여 지급하며 20년 이상의 가입기간을 채운다면 기본 연금액의 100%를 받을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은 회사를 다녀야지만 가입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대한민국 국민이면 모두 국민연금 관리공단에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주부나 프리랜서, 개인사업자 또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부나 프리랜서, 개인사업자 등의 가입자인 지역가입자와 회사에 소속되어 4대 보험비를 지불하는 직장가입자로 나뉩니다. 이때 지역 가입자는 1인 개인사업자를 포함하고 직장가입자는 직원이 있는 개인사업자, 법인 대표, 직원 등을 포함합니다. 차이가 있다면 납입금액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납입액은 기준소득월액=소득세법상의 총급여의 9%인데, 회사원인 경우 본인과 회사가 4.5%씩 부담하고 개별적으로 가입한 개인 사업자나 프리랜서인 경우본인이 9% 전부 부담해야 합니다.
국민연금의 장점 첫 번째는 물가 변동률이 반영된다는 것입니다. 즉 물가가 오르면 연금수령액도 함께 오릅니다.즉 물가가 1% 올랐다면 연금 수령액도 1% 오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국민연금을 500만 원 받을 수 있는국민연금 수령 전의 몽순이가 애그 타르트를 5000원에 사 먹었는데 연금을 받는 시점에는 에그타르트가 10000원이 되어 물가상승률이 100%다."라고 가정할 때 연금수령액 또한 100% 상승한 1000만 원이 되는 것입니다.
국민연금의 장점 두 번째는 국민연금 실버론이 있습니다. 바로 국민연금 수급자를 대상으로 하는 저금리 대출상품인데요.국민연금 실버론의 취지대로 노인분들이실 경우에 수익이 거의 없거나 수익이 적기 때문에 돈이 필요할 때 저금리로 돈을 빌릴 수 있다고 하면 상당히 반가운 소식이겠죠? 그리고 대출이 될지 안 될지 걱정하지 않아도 돼서 든 든 할 것 같습니다.
국민연금 노후긴급자금 대부신청서.hwp
0.10MB
국민연금 노후긴급자금 대부약정서.hwp
0.11MB
이만큼 국민연금은 개인에게 매우 수익성이 높은 연금이며 그렇기에 매년 고갈의 문제 또한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걱정할 것 없는 게 국민연금이 모두 소진되어도 국가에서 책임지고 지급합니다. 현재 보험료율이나 미래 경제 성장률과 평균수명 그리고 출산율을 고려했을 때 2057년도 면 국민연금이 모두 소진된다고 예상하고 있습니다만 상황은 항상 변합니다. 실제 예로 2007년에는 연금 소진 연고가 13년이나 늘어났을 때도 있었거든요! 그리고 외국 또한 이미 연금이 고갈되어 정부의 보조, 부과방식으로 전환하는 방식을 통해 연금을 주고 있으니 다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꼬박꼬박 강제(?) 노후 대비해봅시다!
국민연금 총정리!
국민연금공단 ☎1355☎
국민연금 총정리
구분 | 담당기관 | 목적 | 대상 | 부과기준 | 보험요율 | 부담방식 |
국민연금 | 국민연금공단 | 소득보장 | 국민 | 기준소득월액으로 매월 부과 | 9% | 근로자 사용자 1/2씩 부담 지역가입자는 전부부담 |
반응형
'몽순이 재테크- 초심자공략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부양자 취득신고의 모든것 (0) | 2021.01.15 |
---|---|
사대보험 정산/사대보험, 혜택은 받으면서 돌려 받을 수 있다고? (0) | 2021.01.12 |
4대보험/국민건강보험 총정리 (0) | 2021.01.11 |
중소기업 청년대출 알아보기 (0) | 2021.01.08 |
내 월급의 구성내역은?/ 4대보험 총정리 해보기 (0) | 2021.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