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몽순이 재테크- 초심자공략법

사대보험 정산/사대보험, 혜택은 받으면서 돌려 받을 수 있다고?

반응형

 

 


여러분 몽순입니다!

안녕하세요.  여러분들께 재테크 지식을 알기 쉽게 설명드리는 몽순이입니다. 지난 시간에  4대 보험  중 국민 연금과 건강 보험에  대해서 다뤘습니다.  오늘은  3번째 고용보험을 다루기 전에 사대보험 정산에 대해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4대 보험과 국민연금,건강보험에 대한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2021/01/07 - [몽순이 재테크- 초심자 공략법] - 4대 보험 /국민연금 총정리

4대보험 /국민연금 총정리

안녕하세요! 여러분들께 재테크 지식을 알기 쉽게 설명드리는 몽순이입니다.지난 시간에는 내 월급은 어떻게 구성이 되어있는지와 4대보험의 개괄적인 내용에 대하여 다뤘습니다. 오늘은 4대보

xn--h62bw8kjve.com

2021/01/11 - [몽순이 재테크- 초심자 공략법] - 4대 보험/국민건강보험 총정리

4대보험/국민건강보험 총정리

안녕하세요. 여러분들께 재테크 지식을 알기 쉽게 설명드리는 몽순이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4대 보험을 세분하여 그중 첫 번째인 국민연금에 대하여 알아봤습니다. 오늘은 두 번째 보험인 국민

xn--h62bw8kjve.com

2021/01/05 - [몽순이 재테크- 초심자 공략법] - 내 월급의 구성내역은?/ 4대 보험 총정리해보기

내 월급의 구성내역은?/ 4대보험 총정리 해보기

여러분 몽순입니다! 안녕하세요. 여러분들께 재테크 지식을 알기 쉽게 설명드리는 몽순입니다. 여러분, 혹시 급여명세표 보신 적 있으신가요? 급여명세표를 보신 적도 없으시다고요? 설마 여러

xn--h62bw8kjve.com


제  월급통장만  봐도  소금같이 짠 월급에서 꽤나 큰 비중이 4대 보험비로 빠져나갑니다. 그런데 이 돈이 돌아오기도 합니다.  맞습니다. 보험 정산입니다!

보험료는 월평균 보수를 기준으로 계산하는데  일단 월평균 보수가 얼마일지 확실하게 모르니까  전년도  보수 총액을 기초로 보험료를 먼저 계산해서 일 년 동안 부과하고, 그  후 다음 연도에 실제로 지급한  월평균 보수를 기준으로 보험료를 다시 계산해서 납부한 보험료가 많으면 돌려주거나 , 앞으로 납부할 보험료에 충당하고 추가로 납부해야 할 금액이 있으면 4월 분 보험료에 추가 납부하는 제도예요!

 

cf. 월평균 보수 산정

전년도 9/30일 이전에 고용된 근로자의 해당 연도 월평균 보수 산정:당해연도 4월~다음 해 3월 

전년도 10/1일 이후 고용된 근로자의 해당 연도 월평균 보수 산정:고용일이 속한 달로부터 다음 연도 3월까지

 

 

 

 

1) 국민연금은 전년도 소득을 보험료 산정 기준으로 할 뿐 별도의 정산 절차는 없습니다. 단  직장가입자의 기준으로  보험료 계산 시 소득을 결정하기 위해 전년도 소득 총액을 신고하는 소득총액 신고가 있으나  회사가 근로소득 지급명세서를 국세청에 제출한 경우에는 몇 개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굳이 제출하지 않아도 됩니다!

 

2) 소득총액 신고대상자

1.지역가입자(1인 기업 사장님 포함)

2.국세청 근로소득 지급 명세서 미 제출자

3.종전 소득 대비 20% 이상 상향자

4.종전 소득 대비 20% 이상 하향자

5.휴직 일수 상이자

 

3) 소득총액 신고기한: 매월 5월 31일(5월 말까지)

4) 신청절차: 국민 연금 관리 공단에 소득총액 신고서를 제출 (2번 해당자만)

 

5) 신청 결과:7월에 변경된 기준 소득월액에 따른 보험료 고지

 

 

 

1) 수시 정산

직장가입자의 자격 또는 보수 등이 변동되었으나 이에 대한 신청이 지연되었을 경우 가입자의 보험료를 다시 산정하여 먼저 부과한 보험료와의 차액을  계산해 수시로 추가 징수 및  반환을 합니다.

 

2) 연말정산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는 당해연도 소득에 의해 부과해야 하나 연도 중 소득이 확정되지 않기  때문에 전년도 소득을 기준으로 우선 부과한 뒤 다음 해 2월에  확정된 소득에 의해 전년도 보험료를 다시 산정하고 기 납부한 보험료와 정산하여 보수 총액 신고서를 건강보험 공단으로 매년 3월 10일까지 신고해 정산 된 보험료를 4월분 보험료에 부과 합니다.

 

3) 퇴직정산

연도 중에서 퇴직할 경우 먼저 납부한 보험료와 당해연도 퇴직 시까지 납부하여야 할 보험료 간의 정산을 사유발생일로부터 14일 이내  실시하여 건강보험공단으로 신고합니다.

 

 

 

 

1) 연말정산

고용보험과 산재보험은 보수총액 신고서를  근로복지공단에 제출함으로써 보험료를 정산합니다.

-부과고지 사업장은 매년 3월 15일까지( 4월 월별 보험료 부과 시 정산)

-자진 신고 사업장은 매년 3월 31일까지(3월 31일까지 정산 보험료 납부)

 

단  소멸 사업장인 경우 부과고지 사업장은 소멸일로부터 14일 내 보수총액을 신고하고 자진신고 사업장은 소멸일로부터 30일 이내 보험료를 신고해야 합니다.

 

2) 퇴직정산

-퇴직정산 제도는 2020년도 1월 16일부터 시행되어 2020년도 1월 16일 이후 고용관계가 종료된 직장인 기준으로 시행됩니다.

-연도 중에  퇴직할 경우 고용보험 피보험 자격 상실 신고서 및 산재보험 근로자 고용 종료 신고서를 작성하여 근로복지공단으로 신고하면 됩니다.


.

.

.

오늘은 4대 보험 정산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제 포스팅이 여러분들께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파이팅~♥

반응형